본문 바로가기
일상

[출산준비]12주~18주(중기) 서울시 임신부 국가 혜택 꿀팁 정리

by Ammmy 2023. 7. 29.
728x90
반응형

[출산준비]12주~18주(중기) 서울시 임신부 국가 혜택 꿀팁 정리_새로운 생명을 맞이하여 주는 여러 곳에서의 선물에 감사하며

 임신 중기에 다다르면 나뿐만이 아닌 주변에서도 축하의 의미로 아기 옷이나 선물 등을 챙겨 그 기쁨에 동참하고는 합니다. 그 동참의 손길은 주변 지인만이 아닌 나라에서도 마찬가지인데요, 오늘은 12 주터 신청할 수 있는 임신부 국가 제도에 대해 나눠보려고 합니다.
 

1. 임신부 교통비 바우처 제도(서울시)

 임신부가 되면 가장 난감한 것이 교통편 이용에 대한 불편입니다. 버스, 지하철 등 여러 임신부를 위한 자리들이 제공되고는 있으나, 일단 나가서 서서 걸어가는 것 자체가 몸에 부담을 주는 임신부에게는 100% 앉을 곳이라는 보장이 필요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서울시와 몇몇 지차제에서는 12주 이후의 임신부가 신청하면 일정 금액의 교통비를 정한 카드에 바우처 형식으로 넣어주는 임신부 교통비 지원 사업을 만들어 운영 중에 있습니다. 저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사업을 신청해 보았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임신 중인 임신부의 경우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사이트에 접속해 신청하고, 이후 소속된 동 주민센터 담당자에게 연락이 와 정부 24에 2차 신청을 해야 한다는 안내를 받고 2일 안에 바우처를 지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정부 24에서 신청하는 방법을 간단하게나마 적어보았습니다. 신청 시에 공란이 있다면 '임산부 교통비 신청' 등 신청하려는 사업에 나오는 키워드를 적어 제출해 주시면 신청 완료입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임신부가 아니시라면 해당 사이트에서 자신이 해당되는 사업들을 찾아 신청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1.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사이트 내 신청: https://www.seoulmomcare.com/main/main.do (로그인 후 신청)
2. 정부 24 사이트 내 신청: https://www.gov.kr/portal/onestopSvc/fertility (맘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 신청- 로그인- 1단계 인적사항 입력- 2단계 지방자치단체서비스 '조회'-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신청여부 선택- 신청)

 

2. 엄마 북(BOOK) 돋움 사업 (해당 지자체)

 이 사업은 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을 신청할 때 같이 신청하라는 안내문이 뜹니다. 그때 신청하거나 위의 '서울맘케어' 사이트에서 따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북스타트 사업 기념 에코백과 아기에게 읽어주기 좋은 어린이 도서 2권, 부모들을 위한 책 읽기 지도&효과에 관련된 도서 1권이 들어간 책상자를 배송해 줍니다. 이 사업은 당장은 시급해 보이는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 읽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또 책으로 교육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서울시에서 활발히 일하고 있어 추후 2단계 북스타트 책꾸러미 등 생애주기별 사업의 일환이니 먼저 받아두시면 하루가 다르게 자라나는 아이에게 좋은 선물이 될 것입니다. 이 사업은 서울시만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이 활성화되어 있는 다양한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북스타트 사업
북스타트 사업

3. 출산지원금 및 각종 지차체 별 혜택 (전국)

 마지막으로 아이사랑보육포털(https://www.childcare.go.kr/)을 통한 지원금 혜택 준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상단메뉴- 출산- 출산지원금으로 들어가면 각 지자체에서 매년 새로 지정된 출산지원금에 대한 공지사항을 올려줍니다. 해당 지자체를 골라 들어가 보면 출산지원금이나 물품 등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그 방법과 수단에 대해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특별히 지원금을 해당 지역화폐로 주는 지자체의 경우 출산하기 전에 미리 지역화폐에 자신의 계좌를 연결하거나 오프라인 사용 카드를 등록해 두시면 실질적인 출산이나 임신에 따른 지출에 사용하기 용이합니다. 조리원이나 임신 후 수술비 등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을 때 바로 사용해야 유효기간에 구애받지 않고 받으신 혜택을 바로 누리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효기간은 대체로 다 다르지만 출산 후 1~2년까지이고 먼저 소진되는 우선순위도 구별되어 있기 때문에 기억나실 때 바로 출산 관련 지출에 방어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